건강 지키기

임신성 당뇨병의 자가검진

별곰세상 2017. 8. 9. 17:45
반응형

임신성 당뇨병에 대하여

요즘은 과체중, 노산인 임산부가 늘어나면서 임신성 당뇨병에 대한 관심이 증가 하고 있는 추세이다. 임신전에는 당뇨 증상이 없다가 임신 중 발견되거나 시작되는 경우인데 일반적으로 임신 24~28주에 발생하였다가 출산 후에는 사라지는 당뇨병의 한 형태이다. 임신중에 문제가 되는것은 태아와 산모를 위험하게 하기 때문이다. 태아의 경우는 신생아의 저혈당, 황달, 호흡곤란증, 홍반증의 증상을 보일수 있으며 임산부의 경우 양수과다증, 난산으로 인한 제왕절게, 요로감염, 임신 중독증의 증상이 일어날수 있기때문에 미리 관리를해주어 임신성 당뇨병을 예방하고 발병후에도 의사와의 검진을 통해 치료를 병행하여야 한다.

 

 

 

임신성 당뇨병 위험인자 자가검진

1. 과거에 임신성 당뇨병이 있었다.

2. 현재 비만도 120% 이상/80kg이상 몸무게가 나간다.

3. 직계가족 중에 당뇨병 이력이 있다.

4. 나이가 30대 이상이다.

5. 다산의 경험이 있다.

6. 거대아(4.5kg)를 출산했었다.

7. 공복 혈당 장애가 있다.(공복 : 110~125mg/dL / 식후2시간 : 140mg/dL 이하)

8. 대낭능(당뇨병 전단계의 한 형태) 장애가 있다.(공복 : 126mg/dL 이하 / 식후 2시간 : 140~199mg/dL)

9. 과거에 신생아 저혈당이 있었다.

10. 과거에 이유를 알 수 없는 유산의 경험이 있다.

 

위의 상황에 해당된다면 임신전에 체중과 운동, 식습관 관리를 해주는 것이 좋으며 임신 후에 임신성 당뇨 검사를 하는 중요하다.

 

 

임신성 당뇨가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 

1. 거대아

자궁 내의 태아의 몸무게가 4,500g이상 나갈때 거대아라고 정의한다. 임신 중기에 발생하는 임산부의 고혈당은 태반을 통하여 포도당과 기타 영양소가 과다하게 태아에게 전달되어 태아의 성장을 빠르게 하여 거대아가 되게 한다. 자연분만을 할경우 거대아는 나오는 도중 어깨가 걸려 난산의 요인이 되기 때문에 제왕절개를 해야 될 수도 있다.

 

2. 신생아 저혈당

출산 직후 임신성 당뇨병 임산부가 낳은 아기는 저혈당에 빠질 위험이 높다. 신생아 저혈당의 경우 창백, 무호흡, 떨림 또는 청색증(입술이나 피부및 점막이 암청색을 띠는 상태)증상으로 알수 있으나 대부분은 증상이 안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저제중아의 경우 특히 주의를 해야하는데 저혈당이 나타나게 되면 시경학적 휴유증과 발달 장애의 위험성이 올라간다.

 

3. 신생아 황달

모든 신생아에게 황달은 나타날수 있는 증상이지만 임신성 당뇨환자의 경우는 더 많이 생기게된다. 조기분만과 태아 저산소증으로 인한 적혈구 과다증이 원이으로 신생아 황달이 나타난다. 치료는 오래 걸리지 않으며 만약 심한 황달 상태라면 광선치료를 받아야한다.

 

4. 호흡 곤란증

임신성 당뇨가 있는 임신부의 경우 혈당이 높아서 태아의 폐가 성숙되는 속도가 느려진다. 출산 전에 철저한 혈당 조절, 세심한 태아 관찰, 양수 천자를 통해 태아의 폐 성숙도를 측정하여 분만 예정일 가까이 분만함으로써 호흡곤란증을 예방할 수 있다.

 

임신성 당뇨가 임산부에 미치는 영향

1. 양수과다증

임신성 당뇨 임산부의 경우 일반적인 임산부에 비해 양수가 과다해질수 있다. 과다한 양수는 자궁을 긴장시키기 때문에 조기 진통을 유발할 수 있다. 조기 진통이 계속된다면 조간이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주의를 해야한다.

 

2. 난산으로 인한 제왕절재

체중이 4kg이상의 거대아는 제왕절개술의 가능성이 일반 태아보다 1.5배나 높다. 자연분만시에 어깨가 걸리거나 돌발상황이 발생할수 있기 때문에 출산에 더많은 시간이 걸리며 위험성이 예상된다면 제왕절개를 하는경우가 많다.

 

3. 요로감염

임신성 당뇨 임산부의 경우 일반적인 임산부에 비해 감염발생의 위험이 높아진다. 혈당관리가 안되면 요로감염의 증상으로는 소병 시에 통증, 다뇨, 혈뇨, 복통, 열, 오한등이 나타난다.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의사에게 알리고 치료를 해야한다.

 

4. 임신 중독증

고혈압이나 당뇨가 있는 산모의 경우에는 임신중독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욱 높다. 임신 초기에 산모의 태반 형성과정에 있어 혈액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태아의 갑작스런 사망, 조산의 위험이 크며 임산부에게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있기때문에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반응형